본문 바로가기
숨겨진 꿀단지

몰라서 못 받는 ‘찾아가는 복지 서비스’, 우리 동네에도 있다고?

by 플랜B!! 2025. 5. 8.

🟢 복지 사각지대, ‘찾아가는 서비스’가 채워줍니다

"이발, 빨래, 건강상담까지… 이게 다 무료라고요?"
혼자 사는 노인, 거동이 불편한 분들, 장애인 가정 등은 필요한 서비스가 있어도 직접 이용하기 어렵습니다.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
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, 이 서비스는 지역 사회복지관, 보건소, 지자체 복지과 등에서 이미 활발하게 시행 중입니다.

오늘은 잘 알려지지 않은 ‘찾아가는 복지’의 종류, 신청 방법, 대상자 조건 등을 정리해드릴게요.


🟢  '찾아가는 복지 서비스' 종류와 지역별 운영 예시

① 방문 세탁 서비스

대상: 거동 불편한 노인, 장애인, 중증 환자 가정
내용: 이불, 겨울 옷, 커튼 등 대형 세탁물 수거 → 세탁 → 배달까지 무료
운영 예:

  • 서울 도봉구: ‘이불 빨래방’ 차량 운행
  • 전남 고흥군: 이동 세탁 차량 정기 운행

②  방문 이발 서비스

대상: 중증 장애인, 요양 중인 환자, 홀몸노인 등
내용: 이발사 또는 자원봉사자가 가정을 방문해 이발 서비스 제공
운영 예:

  • 경기도 안산시: 매월 복지사 동행 방문
  • 부산 사하구: ‘찾아가는 이미용 서비스’ 연 2회 이상 운영

③  건강 상담·기초검진 서비스

대상: 만성질환자, 노인, 의료취약지역 주민
내용: 혈압·혈당 측정, 우울검사, 건강교육, 복약지도
운영 예:

  • 충북 청주시: ‘찾아가는 방문건강관리팀’ 운영
  • 강원도 정선군: 마을 회관 중심의 건강 버스 운영

④  기타 서비스도 다양합니다!

  • 법률 상담 (무료 변호사 연계 방문)
  • 가전 수리 (기초수급자 대상 노후 가전 점검)
  • 동물 진료 (반려동물 키우는 저소득층 가정 대상 방문 진료)

🟢  신청 방법과 이용 꿀팁

신청은 어디서?

  •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, 지역 복지관, 보건소,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합니다.
  • 복지 담당 공무원이 일대일 상담 후 대상자 판정을 통해 서비스 연계

이용 꿀팁
✔️ 한 번 신청하면 정기적으로 방문 받는 경우도 있음
✔️ 가족 대신 신청도 가능
✔️ 일부 지역은 연 1~2회만 시행되므로 운영 시기 확인 필수


📌 진짜 복지는 ‘찾아와주는 것’

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, 사회적 고립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.
특히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, 이동이 어려운 가정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.

내 이웃, 부모님, 혹은 나 자신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“몰라서 못 받는 복지”가 없도록, 주변에 널리 알려주세요.